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물놀이 사고 안전수칙 알아보기
    물놀이 사고 안전수칙 알아보기

    여름 휴가철, 특히나 올해 장마가 끝나기만을 기다리는 사람들이 많을 겁니다. 저 또한 8월 휴가 계획이 있고, 많은 인파를 걱정하는 마음은 여전합니다. 물놀이를 할 수 있는 장소로 가고 싶은 분들이 많은 만큼 익사사고는 매년 뉴스 화제거리로 들썩이고는 합니다. 올해는 장마로 인해 많은 사건사고가 있었으니 안전수칙을 지켜 사고를 줄여보는건 어떨까요??

     

    1. 구명조끼 등 반드시 안전장비 착용하기

    수영을 하기 전 반드시 준비운동을 하고 구명조끼를 착용합니다. 준비운동은 몸의 근육들을 이완시켜 갑작스레 근육들이 놀라 경직되는 것을 막아줍니다. 물에 들어갈 때는 심장에서 먼부분부터 천천히 들어갑니다. 다리로 시작해 팔, 얼굴, 가슴 순으로 가슴은 물을 소량씩 묻혀 온도를 확인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강이나 계곡은 물이 갑자기 깊어지는 곳이 있어 예상치 못한 사고로 이어지게 됩니다. 사전에 구명조끼로 바닥에 발이 닿지 않아도 물속으로 빠지지 않기 위해 조심하는게 중요합니다.

    물놀이 사고 안전수칙 알아보기물놀이 사고 안전수칙 알아보기물놀이 사고 안전수칙 알아보기
    물놀이 사고 안전수칙 알아보기

    건강상태가 안좋거나 배고플때, 식사 직후는 수영을 금지합니다. 호수나 강, 깊은 바다에서 혼자 수영을 하면 안됩니다. 물에 빠진 사람을 발견하면 주위에 소리쳐 알리고, 즉시 안전요원이나 119에 신고합니다. 구조 경험이 없는 사람은 무모한 구조를 하면 안되며, 함부로 물에 뛰어들면 같이 위험해지니 자제해야 합니다.

     

    2. 피부 소름 돋으면 바로 물에서 나오기

    물놀이 사고 안전수칙 알아보기물놀이 사고 안전수칙 알아보기물놀이 사고 안전수칙 알아보기
    물놀이 사고 안전수칙 알아보기

    물놀이 이전에 물의 깊이와 온도, 물 흐름의 빠르기를 먼저 확인합니다. 유사시에 던져줄 수 있는 물에 뜨는 기구를 준비한 뒤 어른이 먼저 물에 들어가서 바닥의 상태, 수온, 유속 등을 확인합니다. 구조요원과 의무실을 미리 확인해두고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을 숙지합니다. 안전장비의 작동상태,위치 또한 알아두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많이들 겪는 상황은 다리에 쥐가 날때, 피부에 소름이 돋을때, 입술이 푸르고 얼굴이 당기는 증상이 나타날 때에는 즉시 물에서 나옵니다. 머리카락이 긴 사람은 묶거나 수영모자를 씁니다. 물놀이 중에는 껌을 씹거나 사탕을 먹지 않습니다. 

    물놀이 사고 안전수칙 알아보기물놀이 사고 안전수칙 알아보기물놀이 사고 안전수칙 알아보기
    물놀이 사고 안전수칙 알아보기

    물놀이 사고 안전수칙 알아보기

    3. 수영모 착용권고

     

     

    수영모자를 쓰면 외이도염 예방에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귓속의 물을 잘 빼주고 깨끗하게 씻는 것이 외이도염 예방의 필수라고 합니다. 귀가 간지럽고 불편해 계속 비비고 노랏진물을 두게 되면 귓구명이 좁아져 상태가 악화될 수 있으니, 응급처치나 병원을 방문해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해야합니다.

     

    4. 덜덜 떨리고 졸립다면 저체온증 증상

    물놀이 중 피부에 소름이 돋고 피부가 당겨지는 느낌이 들거나 오한이 든다면 저체온증이 생겼다는 신호입니다. 체온이 35도 아래로 떨어졌을 때 나타나는 증상으로 물에서 얼른 나와 대형 타월로 몸을 감싸거나 긴 옷을 입어 체온을 최대한 보호합니다. 몸이 계속 떨리고, 맥박과 호흡이 느리고 약해지며 졸리는 증상이 나타나면 의료진이나 안전요원에게 도움을 청합니다. 이 것을 방치하면 체온이 내려가면서 불안, 초조, 어지럼증, 현기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심하면 심장기능이 떨어져 부정맥으로 심장마비를 일으키기도 합니다.

    물놀이 사고 안전수칙 알아보기물놀이 사고 안전수칙 알아보기물놀이 사고 안전수칙 알아보기
    물놀이 사고 안전수칙 알아보기

    5. 샌들, 슬리퍼 착용 주의하기

    물놀이에 많이 활용하는 샌들, 슬리퍼가 어린이.청소년들에게는 위험한 소재로 손꼽힙니다. 물놀이중 샌들이 벗겨져 물에 떠 내려가게 되면 반사적으로 신발을 건지기 위해 물에 뛰어들기 때문에 아이들의 안전을 위협받을 수 있습니다. 또 아이가 입에 껌이나 사탕을 문채 수영을 하지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응급 상황 발생 시 껌이나 사탕이 기도를 막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어린 아이들은 배꼽 이상 물이 차는 곳에서는 물놀이를 하지 말아야합니다.

    물놀이 사고 안전수칙 알아보기물놀이 사고 안전수칙 알아보기물놀이 사고 안전수칙 알아보기
    물놀이 사고 안전수칙 알아보기

    많은 시도청이 주관해 안전 예방 캠페인이나 대책을 마련하는 사례들이 많습니다. 119 수상구조대도 신경써서 배치를 하는 사례도 있고 많은 사람들이 모두 즐거운 피서를 즐길 수 있도록 함께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모두가 즐기는 여행지, 어디로 정하셨나요? 아래 배너를 통해 더 많은 여행지를 확인하세요

     

     

    알면서도 당하는게 일반적인 사건 사고 같습니다. 조심을 한다 해도 100퍼센트 완벽한 확률이라 생각은 하지않지만 그래도 근접한 생명 확률로 효과있지않을까 싶습니다. 모두 안다고 가볍게 생각하는 순간 즐거운 피서, 휴가가 아닌 사건사고로 이어지니 한 번 더 주의하기 바라며 안전수칙을 준수해 사고 없는 건강한 여름철 휴가가 되길 바랍니다.

    물놀이 사고 안전수칙 알아보기물놀이 사고 안전수칙 알아보기물놀이 사고 안전수칙 알아보기
    물놀이 사고 안전수칙 알아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