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안녕하세요. 쌀쌀해지면서 호흡기관 다들 불편하지 않으신가요? 늘어나는 기침과 간혹 열이 나는 것 같기도 하고, 아니면 가족 중에 그런 증상이 있으시진 않나요? 독감인지 일반 감기인지, 집에서 상비약으로 먹어도 되는건지 모든것을 알아보았습니다. 독감 증상과 종류, 격리기간과 유행시기, 예방접종을 알 수 있는 방법까지 정리를 해보았습니다.

     

    독감 예방접종을 무료로 하는 방법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배너를 눌러 대상자 확인을 하실 수 있습니다.

     

    독감 증상, 예방접종
    독감 증상, 예방접종

    매년 찾아오는 불청객, 독감입니다. 매년 찾아오는 급성 호흡기 질환으로 최근 코로나 백신과 치료에 중점을 두다보니 독감 예방접종이나 치료방법에 대해 소홀해진 것은 사실입니다. 게다가 코로나가 끝나면서 마스크를 벗고, 사람들의 경각심이 사라진 지금 여러 바이러스들이 활발해지는 시점입니다.

    이례적으로 지난해 9월 이후 독감 유행 주의보가 지속적으로 발령중입니다. 1년 내내 주의보가 이어진건 2000년 이후로 처음입니다.

     

    잊고 지내시던 독감 증상과 종류 같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독감 vs 감기

     

    독감과 감기는 원인부터 발현시기, 치료방법 등 다방면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간단하게 표로 정리를 해보았습니다. 살펴볼까요?

      독감 감기
    특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원인이 되어 나타나는 질환 200여개 이상의 서로 다른 종류의 바이러스가 일으키는 질환.
    종류 A형 : 변이를 자주 일으키는 2009년 신종 인플루엔자와 같은 대유행의 바이러스 -
    발현시기 겨울에 중점적으로 유행
    보통 10월쯤 유행의 시작으로 4월 쯤 사그라듭니다.
    늦봄 - 초가을 환절기 : 리노바이러스
    추운 한겨울 : 코로나바이러스가 많다.
    증상 발열, 두통, 오한, 근육통, 피로감/식욕부진 등 전신 증상과 함께 인후통, 기침, 콧물/코막힘 증상을 동반된다. 기침과 비슷해 혼동하기 쉽다. 바이러스에 노출된 지 1-3일 후 발현되며 코와 목을 포함한 상부 호흡기계 침투 했는지, 환자의 연령이나 상태에 따라 증상이 달라진다.
    치료기간 아래 각 표에 적힌듯이 유형에 따라 다름 1-2주 내에 특별한 치료없이 호전된다.

    독감과 감기의 차이는 바이러스부터 다르며 비교적 치료가 단순한 감기에 반해 독감은 꽤 오랫동안 깊은 증상으로 치료기간이 감기보다 오래 걸립니다. 일반 감기라고 예상이 된다면 집에 있는 상비약을 복용하면 되지만 호흡기계 증상만이 아닌 전신 증상과 몸살기운이 동반한다면 병원을 방문해 독감을 의심해봐야 합니다.

     

    독감이 무서운 이유는 신종 바이러스가 변형을 계속하며 매 해 바이러스들이 새롭게 등장하고 그에 맞는 백신을 만들어 예방을 해야한다는 점입니다.

    하지만 장점은 예방율이 70-90%로 예방이 가능하기 때문에 예방접종을 권유하고 있으며, 무료접종도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건강한 사람이라 굳이 예방접종을 받으려 하지 않는 사람들도 있지만, 신종 인플루엔자, 메르스, 코로나와 같이 지나갔던 변이 바이러스들을 봐선 미리 예방으로 고생을 하지 않는 것 또한 중요합니다. 게다가 고위험군의 대상자의 경우엔 미리 예방을 해서 바이러스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예방접종을 언제, 어느 시기에 해야 할까요? 또한 예방접종을 몇번 맞아야할까요?

     

    예방접종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싶으시다면 아래 배너를 눌러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위에서 말했듯이 독감은 종류가 3가지입니다. 3가지의 독감 종류가 무슨 차이이며, 구분하는 이유 무엇일까요?

     

    독감 종류

      A형 B형 C형
    개념 사람에게 감염되었을 때 증상을 일으키는 것 사람 사이에서만 전파, A형 보다는 범유행을 일으키는 경우가 적고 봄철에 유행. 호흡기에서 발생하는 비말이나 비생물 접촉 물질에 의해 전파
    경증의 상부 호흡기 감염을 일으킴.
    증상 전신적 증상으로 고열, 오한, 인후통, 근육통 발생. 오한이나 한기가 첫번째 징후며 발열, 쇠약감, 전신통 발생. 열, 마른기침, 비염, 두통, 근육통, 무력감, 발열
    잠복기/전파기간 잠복기 : 1-4일
    전파기간 : 3-4일
    잠복기 : 2-3일
    전파기간 : 5일
    잠복기 : 18-72시간

    격리기간 최소 5-7일간의 격리 기간 권장 증상 발생일로부터 5일이 경과하고 해열제 없이 체온 회복 후 2일이 경과할 때 까지 격리 기간
    타미플루를 복용하게 될 경우 복용기간 5일 동안은 격리 권고.
    최소 5-7일간의 격리 기간 권장
    치료기 어른의 경우 5-7일 정도 회복가능하며 어린이의 경우 10일이 지나도 전파가 가능.

    위의 표처럼 증상과 격리기간의 차이는 별 다를 바가 없지만 종류를 나뉜 이유가 있습니다. 세 유형 모두 다른 전파 방식과 미세한 증상의 차이 때문입니다. 무엇보다 증상과 전파 방식에 차이가 있다는건 침투하는 바이러스 종류가 다른 것이라고 보면 좋겠습니다. 

     

    독감이 잘 퍼지는 환경은 아무래도 학교나 요양시설과 같은 취약계층이 시설에 모여있는 곳으로 예상됩니다.

     

    독감 예방법

     

    1. 손을 청결하게 씻어 손에 묻어있을 수 있는 감기 바이러스를 없앱니다.

    2. 손으로 눈, 코, 입을 비비지 않아야 하며, 기침 에티켓을 지킵니다.

     

     

    3. 예방접종으로 예방율을 올린다.

    4. 마스크 착용

     

    독감에 걸리게 되면, 지속적으로 먹어야 하는 알약 처방, 한번 적용으로 끝이나는 주사제가 있습니다. 타미플루와 페라미플루인데 독감에 걸렸을 경우, 병원을 방문해도 타미플루를 구매해 먹었다면 얼마 먹었는지 말을 해주어야 치료 방향을 정할 수 있습니다.

     

    타미플루 사용방법

     

    간혹 타미플루에 대해 어떻게 사용해야 좋은지 헷갈려 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타미플루는 독감 치료제로  A형 독감에 쓰입니다. 독감에 걸리고 증상이 나타나기 전 48시간 이내에 투여하는 것이 가장 좋으며 꼭 치료 용도로 쓰기 보다 예방적으로 쓰이기도 좋은 약품입니다.

    독감 증상, 예방접종
    독감 증상, 예방접종

    치료목적 복용법

    1알 10시간 ~ 12시간 간격으로 2번 복용

     

    예방목적 복용법

    하루에 1알 섭취, 약 10일 동안 섭취를 권장.

     

    중간에 중단하면 내성이 생길 수 있으니 꼭 치료목적인지 예방목적인지 잘 보고 복용하셔야 합니다. 

    독감 증상, 예방접종
    독감 증상, 예방접종

    페라미플루 사용방법

     

    병원에서 주로 처방 및 처치를 해주며, 치료는 15분 ~ 30분 정맥주사로 진행됩니다. 24개월 이상 소아와 청소년도 적용이 가능합니다. 만일 타미플루를 3회 이상 먹었다면 보통 주사제 적용을 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보통 2세 이상 소아와 성인의 인플루엔자 A와 B바이러스 감염증 치료에 쓰입니다. 

    주사제로 치료를 하면 1회 적용으로 주사제의 장점도 확실합니다.

     

    무료 국가예방접종이 올해 9월 20일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이제 기온도 낮아지고 간절기가 다가오면서 집안의 습도도 건조함이 뜬 지금, 개인위생 관리를 철처히 하며 예방접종을 꼭 챙겨 예방을 하시기 바랍니다.

     

    내년 2024년 4월 30일까지 독감 예방접종을 실시할 예정이며, 다시금 팬데믹과 변이 바이러스와의 전쟁을 방지했으면 합니다. 

     

     

    2023 독감 예방접종 무료대상, 시기 및 가격 총정리

    쌀쌀해지는 가을, 보건소와 병원들은 각자 바빠지는 시기가 옵니다. 바로 예방접종의 시기인데요 매년 불청객처럼 찾아오는 독감은 일상생활에서 지치게 만들어 미리 예방하는 것이 좋습니다.

    monirang.com

     

     

     

    독감 증상, 예방접종
    독감 증상, 예방접종
    독감 증상, 예방접종
    독감 증상, 예방접종
    독감 증상, 예방접종
    독감 증상, 예방접종
    독감 증상, 예방접종
    독감 증상, 예방접종
    독감 증상, 예방접종
    독감 증상, 예방접종
    독감 증상, 예방접종
    독감 증상, 예방접종

     

    반응형